페이지상단으로이동

[매경] ⑥ ‘시市·산産·학學’복합체-중소기업 키우듯…민간·정부 분업으로 도시 육성

신현규

2017.04.21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시리즈 순서
①도시가 미래다
②신문명 융합공간
③아시아 시장이 열린다
④준비안된 한국
⑤테스트 플랫폼부터 만들자
⑥‘시市·산産·학學’복합체

독일 인더스트리4.0의 아버지 헤닝 카거만

“독일처럼 한 도시에 너무 많은 것이 집중되어서는 안 됩니다. 4차 산업혁명에 맞는 새로운 도시 모델을 만드는 것은 중소기업을 활성화시키는 것과 같습니다. 소수 대기업(대도시)만 혜택을 입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도시에 혜택이 돌아가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4차 산업혁명의 원조 격인 독일 ‘인더스트리 4.0’ 플랫폼 개발을 주도한 헤닝 카거만 독일 공학한림원 회장(전 SAP 회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만드는 새로운 신문명 미래 도시의 발전에 역설적으로 ‘국가’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카거만 회장은 “원천기술 연구개발(R&D)을 예로 들어보자. 독일에서 R&D 투자 비용 중 3분의 2는 기업이, 나머지 3분의 1을 정부가 차지한다. 중앙 정부가 지방 정부보다 투자할 수 있는 여유 자금이 더 많다”며 “근본적 혁신은 시 당국이 독자적으로 추진하고 감당하기에는 규모가 너무 크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구위치확인시스템(GPS), 인터넷,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혁신 기술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나 국방고등연구기획국(DARPA) 같은 국가 연구기관들이 내놓은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시티 표준을 만드는 것도 정부 역할이라고 했다. 다른 도시들에 쉽게 적용·전파될 수 있도록 표준을 만들고 적용성을 넓히는 작업은 한 도시 주도로 이뤄지긴 어렵다는 지적이다. 또 카거만 회장은 “대중을 설득하기에는 국가적 차원의 정치인 연설이 시도지사 연설보다 더 강력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중앙 정부가 모든 것을 다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그는 강조했다. 카거만 회장은 “엄밀히 말하면 정부가 직접 추진한다기보다 추진을 지원한다는 쪽에 더 가깝다”며 “오직 정부만이 도울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시와 정부 사이에서 이상적인 분업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그는 정부가 과도하게 도시에 개입해서 한 도시에 모든 것을 집중시키는 스마트시티 개발 모델은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카거만 회장은 “독일처럼 한 도시에 너무 많은 것이 집중되어선 안 된다”며 “이건 중소기업을 활성화하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소수 대기업(대도시)만 그 혜택을 입는 것이 아니라 결국 국가 전체에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도록 정부가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이다. 또 카거만 회장은 “독일의 4차 산업혁명 사례를 알고 싶다면 대도시 두세 곳을 방문해보는 것도 좋겠지만, 오히려 한국 정부가 중간 규모 도시를 방문해서 그 역할을 고민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중간 규모 도시들을 한국이 등대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콘텐츠 연재물:

연관 태그